SearchGPT: OpenAI의 AI 검색 기능 출시
11월 1일 OpenAI가 ChatGPT에 AI 검색 기능을 정식 출시했습니다. 이를 통해 OpenAI는 Google과 Perplexity와의 AI 검색 시장 경쟁에 본격적으로 참여하게 되었습니다.

출시 일정 및 이용 방법
- ChatGPT Plus 및 Teams 사용자: 즉시 사용 가능
- Enterprise와 Edu 사용자: 몇 주 내 출시 예정
- 무료 사용자: 몇 달 내 제공 예정
- 데스크톱 및 모바일 앱 모두 지원

주요 특징
- 검색 방식:
- 질문에 따른 자동 웹 검색
- 프롬프트 입력 창의 웹 검색 아이콘으로 수동 검색 가능
- 검색 결과에서 출처 클릭 시 왼쪽 패널에 원본 내용과 추가 검색 결과 표시
- 정보 제공 및 표시 방식:
- 날씨 정보: 지역별 기온, 날씨 상태, 강수 확률 등 시각적 표현
- 스포츠 경기 결과: 실시간 스코어, 경기 통계 제공
- 주식 시세: 실시간 가격 변동, 차트 표시
- 뉴스: 최신 기사 요약 및 원문 링크 제공
- 지도: 위치 검색 시 관련 지도 정보 자동 표시
- 대화형 정보 탐색:
- 이전 대화 맥락을 고려한 연속 검색 가능
- 검색 결과에 대한 추가 질문으로 더 자세한 정보 탐색
- 특정 주제나 키워드에 대해 자동으로 관련 이미지 표시

기술 구현
- GPT-4o 미세조정 버전 사용
- o1-프리뷰 출력 증류 및 새로운 합성 데이터 생성 기술 적용
- MS '빙' 등 타사 검색 공급자 활용
경쟁 현황
- Google의 대응:
- 제미나이 개발자용 실시간 검색 기능 출시
- '구글 검색 접지 기능' 제공
- 개발자 대상 AI 앱 제작 지원
- 시장 동향:
- Perplexity의 지속적인 성장
- Microsoft의 검색 시장 참여 확대
- Meta의 로이터 계약 및 AI 검색 서비스 준비
실제 사용 비교
SearchGPT와 Perplexity를 실제로 사용해보니 몇 가지 차이점이 눈에 띄었습니다. SearchGPT는 질문을 입력하고 나서 응답을 받기까지의 속도가 비교적 빠른 편이었습니다. 반면 Perplexity는 응답을 받는 데 약간의 지연이 발생했지만, 큰 불편함을 느낄 정도는 아니었습니다.
정보의 정확도 측면에서는 두 서비스 모두 신뢰할 만한 수준의 답변을 제공했습니다. 다만 출처를 표시하는 방식에서 차이가 있었는데, SearchGPT는 답변 내에 출처를 자연스럽게 통합하고 클릭 시 왼쪽 패널에서 자세한 내용을 보여주는 방식을 사용했고, Perplexity는 답변 하단에 관련 출처들을 나열하는 방식입니다.
AI 검색 시장은 이제 본격적인 경쟁 단계에 진입했습니다. ChatGPT의 검색 기능 추가로 사용자들은 더 다양한 선택지를 갖게 되었으며, 이는 전반적인 검색 서비스의 품질 향상으로 이어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기존의 검색 엔진(Search Engine)에서 Answer Engine(엔서 엔진)으로의 전환이 가속화되고 있습니다. 단순히 관련 링크를 나열하는 것이 아닌, 사용자의 질문에 직접적인 답변을 제공하는 방식으로 진화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변화는 특히 실시간 정보 검색과 대화형 인터페이스를 통한 정보 접근성 향상에 중점을 두고 있으며, 앞으로 AI 검색 시장은 사용자 경험과 정보의 정확성을 중심으로 발전할 것으로 보입니다.
'Insights > IT Trends'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화제의 AI 이미지 생성 모델, 레드팬더(red_panda)의 정체: Recraft V3 (0) | 2024.11.03 |
---|---|
Claude AI에 새롭게 추가된 Analysis Tool (1) | 2024.11.02 |
AI와 AI 에이전트의 차이: 깊이 '생각하는' AI의 시대가 온다 (1) | 2024.10.27 |
가트너가 전망하는 2025년 기술 트렌드: AI가 이끄는 미래 (1) | 2024.10.26 |
RAG: 기업 맞춤형 AI 솔루션의 핵심 기술 (1) | 2024.08.09 |
댓글
이 글 공유하기
다른 글
-
화제의 AI 이미지 생성 모델, 레드팬더(red_panda)의 정체: Recraft V3
화제의 AI 이미지 생성 모델, 레드팬더(red_panda)의 정체: Recraft V3
2024.11.03AI 이미지 생성 시장에 파격적인 소식이 있었습니다. Artificial Analysis의 텍스트-이미지 생성 벤치마크에서 미스터리한 'red_panda' 모델이 블랙 포레스트 랩스의 'Flux'와 타이포그래피 최강자 'Ideogram', 전통의 강자 'Midjourney'를 모두 제치고 1위 자리에 올랐기 때문입니다. 특히 이 모델은 이미지 생성 속도가 평균 7초로, DALL-E 3보다 100배 이상 빠르다는 충격적인 성능을 보여주었습니다. Infinite AI Artboard - RecraftPremium image generation and editing tool. Store and share your own styles, create, fine-tune, upscale, and perfect yo… -
Claude AI에 새롭게 추가된 Analysis Tool
Claude AI에 새롭게 추가된 Analysis Tool
2024.11.022024년 10월 25일, Anthropic이 Claude AI에 새로운 기능을 추가했습니다. JavaScript 코드를 실시간으로 작성하고 실행할 수 있는 Analysis Tool이 바로 그것입니다. 이 도구를 통해 Claude는 데이터를 더 정확하게 분석하고 시각화할 수 있게 되었는데요, 특히 최근 출시된 Claude 3.5 Sonnet의 향상된 분석 능력과 만나 더욱 의미 있는 결과를 만들어내고 있습니다. Introducing the analysis tool in Claude.aiWe’re introducing a new built-in feature for Claude.ai, the analysis tool, that enables Claude to write and run code. With t… -
AI와 AI 에이전트의 차이: 깊이 '생각하는' AI의 시대가 온다
AI와 AI 에이전트의 차이: 깊이 '생각하는' AI의 시대가 온다
2024.10.27인간의 사고 과정에 대한 획기적인 통찰을 제공한 노벨상 수상자 다니엘 카너먼은 그의 저서 "생각에 관한 생각(Thinking, Fast and Slow)"에서 인간의 사고방식을 '시스템 1'과 '시스템 2'로 구분했습니다.최근 AI 분야에서 이 개념이 주목받고 있습니다.시스템 1 (Fast Thinking)빠르고 직관적인 판단자동적이고 즉각적인 반응일상적인 패턴 인식감정적 반응무의식적이고 노력 없이 작동일상적 결정의 약 98%를 차지고정관념적 판단 경향성 존재"어! 비가 오네, 우산 들고 가야지"처럼 즉각적인 판단시스템 2 (Slow Thinking)느리지만 신중한 분석복잡한 문제 해결다단계 계획 수립논리적 추론의식적이고 많은 인지적 노력 필요전체 사고의 약 2%를 담당깊은 분석과 복잡한 계산 수행"이번… -
가트너가 전망하는 2025년 기술 트렌드: AI가 이끄는 미래
가트너가 전망하는 2025년 기술 트렌드: AI가 이끄는 미래
2024.10.26지난해 가트너는 2024년 전략 기술 트렌드를 발표하며 AI의 영향력이 지속될 것이라 예측했습니다. 그리고 얼마 전 발표된 2025년 전망에서는 한 걸음 더 나아가, AI가 거의 모든 주요 기술 트렌드를 주도할 것이라 전망했습니다. 10개의 주요 기술 중 무려 9개가 AI와 직간접적으로 연관되어 있다는 점이 이를 잘 보여줍니다.2024년에서 2025년으로: AI 영향력의 확대2024년 전망에서 가트너는 AI 신뢰와 보안 관리(AI TRiSM), AI 증강 개발, 대중화된 생성 AI 등 3가지 영역에서 AI를 직접 언급했습니다. 그러나 2025년 전망에서는 거의 모든 영역이 AI를 중심으로 재편되었습니다. 이는 AI가 더 이상 '주요 기술 중 하나'가 아닌, '기술 혁신을 이끄는 핵심 동력'으로 자리 잡았…
댓글을 사용할 수 없습니다.